전체 글 20

비전검사: 산업용 카메라 및 렌즈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

서론 이 글은 비전검사 프로젝트를 처음 접해보거나 아직 익숙하지 않은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아무쪼록 읽어보시고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비전 검사란? 비전 검사 시스템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품질 검사, 제품 분류, 위치 정밀 조정 등의 작업에 이용되며, 이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산업용 카메라와 렌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산업용 카메라와 렌즈 선택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카메라 센서 카메라의 센서는 그림을 형성하는 주요 부품입니다. CCD와 CMOS가 대표적인 센서 유형입니다. CCD는 높은 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하지만, 전력 소비량이 크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CMOS는 비용 효율적이며 속도가 빠르지만, 노이즈가 더 많을 수 있습니다. ..

맛있는 수박 고르는 법. 이것만 알면 100% 성공합니다.

여름이면 떠오르는 과일 중 하나는 바로 '수박'입니다. 시원한 수박 한 조각은 더운 여름날의 피로를 단번에 날려버리는 마법과 같죠. 하지만 수박을 고르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맛있는 수박을 고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색상확인 수박의 색상은 그 품질을 판단하는 첫 번째 기준입니다. 수박의 겉 색상이 깊은 녹색이고, 반대편(땅에 닿아 있던 부분)의 색상이 노란색이면서 균일하게 익은 것으로 보이면 좋은 수박일 확률이 높습니다. 2. 모양과 크기 일반적으로 균형 잡힌 모양과 중간 크기의 수박이 가장 맛있습니다. 너무 크거나 작은 수박, 혹은 불규칙한 모양의 수박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무게 확인 수박을 손에 들어 무게를 느껴보세요. 그 크기에 비해 무거운 수박은 수분..

시사:일반 2023.05.25

CAN-FD 통신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도깨비 개발자입니다. 오늘은 CAN-FD에 대해 알아볼까합니다. 지금까지는 개인적으로 CAN 2.0 까지만 접하다가 최근들어서 CAN-FD 통신을 구현해야할 일이 생겨서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CAN-FD란? CAN-FD(반도체 네트워크-플렉시블 데이터-률)는 기존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보완한 통신 방식입니다. CAN 통신은 자동차, 공장 자동화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실시간성이 중요한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표준입니다. 그러나 기존의 CAN 통신은 최대 1M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 제한과 8바이트의 데이터 프레임 크기 제한 등의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CAN-FD입니다. FD는 'Flexible Data..

Development/일반 2023.05.13

속도가 파이썬의 35000배? MOJO(모조)! 괴물 개발 언어가 나왔다.

오늘날 급속도로 발전하는 인공지능(AI) 프로그래밍의 세계에서 최적의 성능과 효율성을 추구하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AI를 훈련 시켜본 사람은 알겠지만 훈련을 시키는데 몇날 며칠이 걸리는게 다반사죠. 이런 와중에 'Mojo'라는 혁신적인 프로그래밍 언어가 등장했습니다. Mojo사이트의 블로그를 보고 간단히 요약 정리하였습니다. Swift와 LLVM의 창시자인 Chris Lattner의 지휘 아래 개발된 Mojo는 AI 프로그래밍 언어의 최전선에서 활약 할 수 있는 여러가지 특징들을 도입했다고 합니다. Mojo의 핵심 설계 철학은 다양한 AI 하드웨어 아키텍처에서의 원활한 확장성을 가능하게 하는 Multi-Level Intermediate Representation(MLIR)의 활용에 있다고 합니다. M..

Development/AI 2023.05.13

23년 4월 22일 본격 단속 시작. 교차로 우회전 이것만 숙지하세요!

아찔한 상황 며칠 전 아침, 학교에 가려고 동생과 함께 지하철역을 향해 걸어가는 길이었습니다. 보행자 신호가 초록색으로 바뀌자 앞서 걸음을 옮기려던 동생이 깜짝 놀라 뒷걸음질쳤습니다. 코너를 돌던 차량이 속도를 줄이지 않고 그대로 우회전을 한 것입니다. 조금이라도 더 빨리 걸었으면 그대로 치일 뻔했던 아찔한 상황이었습니다. 헷갈리는 우회전 관련 법규 보행자 신호에 우회전으로 도로에 진입하는 차량. 아마 지나가려는 보행자를 보지 못해서 바로 우회전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보행자가 없는 경우에는 보행자 신호가 초록색이어도 자동차가 우회전해도 괜찮다는 얘기도 있고, 무조건 정지해야 한다는 얘기도 있는데 저만 헷갈려 하는게 아니더라구요. 그래서 이번 기회에 우회전 관련 법규를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마침 지난 1월..

시사:일반 2023.05.12

.NET Framework, .NET Core, .NET Standard 뭐가 다를까?

안녕하세요. 도깨비 개발자입니다. 오늘은 .NET의 이름을 달고 나온 .NET Framework, .NET Core, .NET Standard 도대체 이것들이 무엇이고 어떤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ET 플랫폼의 발전 .NET Framework .NET Framework는 2002년에 처음 발표된 마이크로소프트의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입니다. 이 플랫폼은 Windows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다양한 언어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는 통합 개발 환경을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운영체제와 디바이스에서 실행할 수 있는 크로스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습니다. .NET Core 2016년에 처음 발표된 .N..

Development/일반 2023.05.11

Google API OAuth2를 C#으로 구현하는 예제

안녕하세요. 도깨비 개발자입니다. 오늘은 Google OAuth2를 C#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첫번째로 구글클라우드콘솔(https://console.cloud.google.com)으로 접속해주세요. 여기서 "프로젝트 선택" 을 클릭해서"새 프로젝트" 를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아래와 같이 새프로젝트 만들기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프로젝트 이름을 기입하고 "만들기" 를 클릭해주세요. 프로젝트가 생성이 되면 윗쪽에서 "프로젝트 선택" 드롭박스를 클릭하고 방금 생성한 프로젝트를 선택해주세요. 그 다음, 대시보드에서 "API 및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왼쪽 목록에서 "OAuth 동의화면" 을 클릭해주세요. UserType을 선택해야 하는데요. 불특정다수를 위한 앱을 만든다는 가정하에(일반적으로..

Manifest file at 'obj\Debug\net6.0-android\android-x64\staticwebassets.build.json' not found. 에러 해결법

Visual Studio 2022 17.3.4로 업데이트를 하면서 버그가 생겼다. 정상적으로 빌드되던 MAUI Blazor앱이 에러가 나면서 빌드가 되지 않는다. 에러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Manifest file at 'obj\Debug\net6.0-android\android-x64\staticwebassets.build.json' not found. 관련하여 여러가지 조사를 한 결과, 근본적인 해결책은 Microsoft에서 버그를 고쳐주는 것 이지만, 무작정 기다릴 수는 없으니 임시조치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포스팅 한다. 먼저 하기와 같이 디버그폴더로 이동하면 staticwebassets.build.json 파일이 보일 것이다. 이 파일을 복사해서 obj\Debug\net6.0-android\..

Visual Studio환경에서 커밋취소 및 Git LFS 적용

오늘은 Git LFS의 설치 및 적용법 대해서 핵심만 적어보도록 하겠다. 개발환경은 Windows에 Visual Studio를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Git LFS가 필요한 상황은? 그래픽 및 오디오소스 관련하여 소스코드를 관리할 경우에 파일 사이즈가 100메가가 넘어가면 아래 그림과 같이 Git 리포지토리 푸시에 실패했다는 메세지가 나온다. 위 메세지를 보면 파일 100mb가 넘어서 푸시 중 에러가 발생하였으며 LFS를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참고로 파일사이즈가 50mb가 넘으면 경고만 발생) Step.1 Git LFS 설치 https://git-lfs.github.com Git Large File Storage Git Large File Storage (LFS) replaces large file..

Development/Git 2022.09.07

MS에서 적극적으로 밀고 있는 WinUI3에 대해 알아보자

WinUI 3.0(Project Reunion)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지난 2020년 Build 2020 개발자 포럼에서 Project Reunion이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처음 발표하였다. WinUI3는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며 Visual Studio 2019 Preview버전에서 베타 테스트를 거쳐 현재 Visual Studio 2022에 정식으로 업데이트가 되어 있다. 그럼 WinUI3가 어떻게 달라졌는 지 간단히 소개해보도록 하겠다. WinUI 2.0 아래는 기존 WinUI 2.0 환경이다. WinUI 2.0을 사용하면 UWP만 제작할 수 있고, Win32 API의 강력한 기능은 전혀 사용할 수가 없다. 다양한 OS에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려다 보니 Windows에 특화된 Win3..

Development/WinUI3 2022.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