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Google API

Google cloud function(1/2): 소개 및 환경설정

dokevee 2024. 1. 10. 20:49

 

 안녕하세요!

 오늘은 Google cloud function에 대해 알아보고 환경설정까지 진행해보겠습니다.

 Google Cloud Functions는 Google Cloud Platform(GCP)에서 제공하는 서버리스 실행 환경입니다.

 이 서비스를 사용하면 개발자가 서버 관리에 신경 쓰지 않고도 코드를 실행할 수 있으며,  코드는 Google의 인프라에서 자동으로 실행, 관리됩니다.

 Cloud Functions는 이벤트 기반으로 작동하며, Google Cloud 서비스(예: Cloud Storage, Pub/Sub) 또는 외부 이벤트에 반응하여 작동합니다.

 

Google Cloud Functions의 주요 기능

서버리스: 인프라 관리가 필요 없으며, Google이 서버, 네트워킹, 스토리지 등을 관리합니다.

이벤트 기반: 특정 이벤트(예: HTTP 요청, Cloud Storage의 변경사항)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코드가 실행됩니다.

자동 확장: 트래픽이 증가하면 자동으로 리소스가 확장되며, 트래픽이 감소하면 리소스 사용이 축소됩니다.

언어 다양성: Node.js, Python, Go, Java 등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합니다.

 

Google Cloud Functions 2세대의 새로운 기능

 

 

2세대 Cloud Functions는 기본적으로 1세대보다 더 많은 기능과 유연성을 제공하며, 복잡한 애플리케이션과 워크로드에 더 적합합니다.

사용자는 1세대, 2세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1세대도 계속 지원을 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구글에서는 가능하다면 새로운 함수에 Cloud Functions(2세대)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말하네요. 

 

자, 그렇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Cloud function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Cloud function 환경설정

1) nodejs 설치

Node.js (nodejs.org) 에 접속해주세요.

 

LTS를 클릭해주세요. LTS가 오랫동안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버젼이어서 추천합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실행해서 설치해주세요.

 

Next를 눌러주세요.
Next를 눌러주세요.
Next를 눌러주세요.
체크후  Next를 눌러주세요.
Install을 눌러주세요.
설치가 시작됩니다.
설치완료후, Finish를 눌러주세요.

 

이제 node.js가 정상 설치되었는 지 확인 해보겠습니다.

커맨드 프롬프트에서 npm을 입력후 엔터키를 눌러주세요.

위 와같은 옵션설명이 나오면 정상 설치가 된 것입니다.

 

2) Firebase 프로젝트 생성

Firebase Console 페이지에 접속해주세요.https://console.firebase.google.com/

 

[프로젝트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하고 체크란에 체크를 한 후, [계속]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애널리틱스는 비즈니스측면에서 도움이 되는 기능이지만 지금 진행하는 예제에서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프로젝트 만들기]를 클릭해주세요.

프로젝트 생성 진행율이 이렇게 표시됩니다.

 

 

자, 이제 테스트를 위한 Firebase 프로젝트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3) Firestore Database 생성

 Firebase 데이터베이스에는 Firestore, Realtime Database 두종류가 있는데 이번 예제에서는 Firestore Database로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좌측 메뉴의 [빌드] 를 클릭하고 [Firestore Database] 를 클릭해주세요.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를 클릭해주세요.

 

한국에서 테스트중이니 위치는 [서울]로 설정하겠습니다.

 

테스트 중이므로 [테스트모드에서 시작]을 고르겠습니다.

이 설정은 나중에 변경 가능합니다.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 지면 아래와 같이 표시됩니다.

 

 

아래와 같이 User컬렉션을 만들고 User 2개 데이터를 추가하였습니다.

User의 내용은 이름, 나이로 간단하게 만들었습니다.

 

자, Cloud function을 테스트할 준비작업은 끝났습니다!

Cloud function을 만드는 법은 내용이 길어질 수 있어서 다음 게시글에서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